독일물가 향후 전망
지난해 하반기 이후 마이너스 물가 수준을 유지해오고 있던 독일의 소비자물가가 향후 예상보다 빠른 물가상승이 전망(2.22일 분데스방크)되고 있는바, 독일 소비자물가 상승 관련 전문가 전망 및 언론보도를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 단기적 전망 및 판단배경
ㅇ 물가상승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분데스방크는 금년 상반기 소비자물가는 약 1% 수준으로 전망(월간보고서)하고 있으며, 최근 Jens Weidmann 분데스방크 총재와 Volker Wieland 독일거시경제전문가위원회(5인으로 구성된 연방정부의 경제자문 기구) 위원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금년 하반기에는 물가가 3% 이상으로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을 밝히기도 했음. Bert Ruerup 한델스블라트 연구소장도 2021년은 2008년(당시 2.6%) 이후 가장 높은 물가가 될 것이라 전망함.
ㅇ 이러한 상승 전망에는 코로나 상황 해소에 기대와 함께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함.
- (글로벌 경제의 회복 가능성) 세계에서 가장 큰 두 경제인 미국(BOA에 따르면 2021년 6.5% 성장 전망)과 중국(약 8.5% 성장 전망)의 경제가 코로나 이후 회복됨에 따라 원자재 수요의 증가 지속.
- (봉쇄조치 완화 이후 가격인상 압력) 지난해 11월 이후 지속되어 온 봉쇄조치가 완화될 경우 엄격한 위생조치에 수반되는 높은 비용, 폐쇄기간 동안의 소득감소분 만회 노력 등에 따라 일부 업종의 경우 가격인상이 뒤따를 가능성 존재하며(예: 지난해 첫 번째 봉쇄조치 이후인 9월 미용요금은 1년 전보다 6.3 % 높음), 봉쇄조치로 많은 기업이 살아남지 못할 경우 경쟁이 낮아져 가격이 높아질 수 있음.
- (적은 지출로 확보한 여유자금의 사용) 코로나로 인해 여행, 레스토랑과 극장 방문 등을 하지 못해 저축해 둔 자금은 향후 가격인상을 쉽게 유인할 요인인 될 수 있음. Kiel 세계경제연구소(IfW)의 Stefan Kooths 경기전망 센터장은 “코로나 기간 동안 가계의 추가 절감액은 약 2,000억 유로(연간 소비자 지출의 10 % 이상에 해당)에 달하며, 향후 소비가 다시 가능해지면 그 중 일부가 가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평가함.
- (조세 및 공과금 인상) 컨설팅회사 EY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64%의 독일 지방자치단체가 공과금(쓰레기수거비용, 거리 청소비용, 수도요금, 주차요금)을 인상할 계획이며, 세금도 인상(지방자치단체의 1/5이 재산세를, 1/9이 영업세를 인상)할 계획으로 조사되었으며, Bernhard Lorentz EY 독일지역 파트너는 “대유행으로 인해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회복을 위한 노력이 수년 전으로 되돌아갔으며, 향후 3년 동안 지방자치단체의 1/2은 부채가 더 증가 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함. ㅇ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전망이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평가함. 지난해 여름 첫 번째 봉쇄 이후 경제가 빠르게 정상 운영으로 전환되었듯이 공급부족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임.
- Peter Bofinger 경제전문가위원회 前 위원(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 경제학 교수)은 “사람들은 위기 동안에도 음식을 주문하고 쇼핑을 했다”면서 코로나 이후 예상되는 수요 특수에 의문을 제기하는 한편, 이러한 수요 특수를 누릴 수 있는 산업의 낮은 경제적 중요성(예: 소비자가격 결정에 있어 케이터링산업 비중은 5% 미만)도 낮다고 강조함. 코로나로 인한 불리한 고용상황을 감안할 때 높은 임금인상을 기대할 수 없고, 석유수요 역시 팬데믹 이후에도 탈 탄소화 및 이동성 감소로 인해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디지털화 급증은 일자리와 상업용 부동산 수요에 오히려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강조하며 인플레이션 우려가 과장되었다고 지적함.
나. 중장기적 전망
ㅇ Volker Wieland 경제전문가위원회 위원은 “중기 인플레이션 위험도 증가했으며, 인플레이션율은 향후 5년 내에 3~4%까지 상승할 수 있다”면서 위기 극복 이후에도 가격이 현재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높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고 전망함.
ㅇ 주재국 주요경제지인 Handelsblatt紙는 물가가 오랫동안 낮게 유지될 것이라는 합의는 무너졌다면서 그 근거로 영국의 경제학자 Charles Goodhart의 ‘인구구조의 대변환(The Great Demographic Reversal)’에서 제시한 가격상승 요인을 제시함.
- 사회의 고령화로 인해 더 이상 안정적인 인력 공급은 어렵게 되었고 근로자 수 감소에 따라 노동자들의 높은 임금인상이 수반될 것이며, 고령화에 따라 건강관리 및 의약품 등 노동 집약적 상품의 필요성이 증가할 것임.
- 탈세계화 추세와 글로벌 가치 사슬의 단절은 더 높은 물가로 이어질 것이며, Joe Biden 미 대통령의 1.9조 달러에 달하는 경기부양책이나 7,500억 유로 규모의 EU 재건기금 등 많은 국가에서 지속적인 지출 또한 물가상승을 이끌 것임. ㅇ 반면, 세계 인구는 100억 명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아프리카의 젊은 근로자 수가 증가하고 있고, 디지털화는 제품을 더 저렴하게 만들고 있다면서 낮은 물가를 지지하는 반론도 있음.
다. 독일물가 상승의 영향
ㅇ 물가상승은 주식시장에도 영향을 미침. 2월초 14,000 포인트(2.4일 14,060.29)를 넘었던 독일증시(DAX)는 최근 인플레이션 우려가 제기되면서 2.23일 장중 13,701까지 하락하였으나 지난 11월 이후 지속되어 온 봉쇄조치에 대한 완화 기대로 인해 다시 상승하는 등 혼조세를 유지하고 있음(2.24일 13,976).
ㅇ 한편, 최근의 독일 물가상승 등 전반적인 인플레이션 가능성 확대로 유럽중앙은행(ECB)이 그동안 취해온 완화적 통화정책을 포기할 가능성에 대해 그럴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는 것이 지배적인 시각임(Handelsblatt, SZ). 이는 독일의 물가인상에도 불구하고 많은 인접 국가들에서 물가는 훨씬 느리게 상승하고 있으며, ECB는 코로나 위기 이후 경기 상승세를 지속 지원하여야 하고, 대유행으로 인해 정부부채가 기록적인 수준에 도달한 만큼 금리인상은 많은 국가에 문제를 야기할 것이기 때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