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연합은 백신 구입을 국가별이 아닌 EU가 총괄 구매 및 배분을 담당하는 방법으로 진행중이다. 이는 상대적으로 백신 구매력이 부족한 회원국들이 백신 구매에 불리한 입장이 될 수 있기 때문에, EU 회원국들가에 연대한다는 취지에서 동일한 제약사가 만든 코로나 백신을 별도로 구매하지 않는다는 합의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EU의 백신 확보가 느려진 이유에는 백신의 허가 지연 및 백신 구매 계약을 제때에 하지 못해서, 백신 공급을 필요한 양만큼 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 논란이 되고 있다. EU의 백신 확보가 느려진 것과 더불어 독일은 연방주이기 때문에 주마다 백신 공급에 대한 방침들이 차이가 있어서 독일 내 백신 접종에 대한 지역별 격차도 벌어지고 있다.
독일 정부에서는 올해 1분기까지 1,100만~1,300만명이 백신 접종을 받을 수 있다고 발표했다. 또한 유럽 연합에서 주문한 백신 중 3억회 분량이 독일의 몫이고 독일인구 8,300만명 대비 이는 충분한 양으로 보여지나 문제는 공급 날짜가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올해 2분기까지 모든 독일 인구가 백신을 접종받을 것이라는 보건부 장관의 발표에 물음표가 더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독일은 지난해 6월 EU연합에서 합의한 백신 구매 협약을 깨고, 지난해 9월 화이자 백신 3천만 회분을 독자 주문한 것이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으며, 독일 보건부 장관은 이는 합의된 내용이었다면 해명하고 있다.
ⓒ 구텐탁코리아(http://www.gutentagkorea.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