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로 많은 사업이 제한되고 있는 가운데 저임금 근로자에게 적절한 코로나19 재난 재정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독일 경제 연구소 DIW의 최근 보고에 따르면, 미니잡을 주업으로 한 근로자 수가 지난 3월에 이미 1년 전에 비해 4.6% 감소했다고 한다.

미니잡이나 그 외 최저 임금 이하의 수당을 받는 근로자는 대체로 사회 복지가 보장되지 않는다. 가령 코로나19 재난 재정 지원책 가운데 조업 단축 제도 강화로 근로자와 고용주의 부담을 줄이는 정책이 있었지만, 미니잡 근로자는 이를 통한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게 되며, 결국 감원 시에 가장 먼저 해고되게 된다.
저임금 근로자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2018년의 통계에 따르면 근로자 중 20%로 약 770만 명이 세전 시급 11.40유로로 근로 중이었으며, 계약된 급여보다 더 적게 받고 일한 근로자의 수도 240만 명에 이르렀다. 이러한 저임금 근로자 중 50%는 무역, 운송, 식품 공장, 교육, 사회 복지 분야 등에서 종사하고 있는데, 이러한 직종은 코로나19에 직격탄을 받은 직종이기도 하다. 또한 2차대전 종식 이후 중급 내지 고급 자격증을 가진 저임금 근로자의 수가 백만 명이 늘어나 2018년에 저임금 근로자 가운데 40%의 비중을 차지했다.
(참고 기사 링크)
ⓒ 구텐탁코리아(http://www.update-gutentagkorea.wpmudev.h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