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 수령자 중 가난에 허덕일 인구 늘어날 것
독일 중년층 중 40% 이상 독일 경제 전망 비관적 평가
독일에서 앞으로 연금 취득자 가운데 가난에 빠질 인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독일 경제 연구소(DIW)가 지난 9월 12일 공개한 조사 결과에 의하면 2039년까지 가난에 처할 연금 수령자 비중이 16.8%에서 21.6%로 증가할 예정이다. 국가로부터 지원을 받아야 할 연금 수령자의 비중은 9%에서 12%로 상승할 예정이며, 특히 동독 지역에서 6.5%에서 12%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전망과 비슷한 예측을 그러나 이미 많은 독일인이 하고 있다. 알렌스바흐 연구(Allensbach Studie)의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년층 즉, 30~59세의 독일인 가운데 41%가 앞으로 독일 경제가 후퇴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보았다.
fizkes/Shutterstock.com
독일 중년층은 총 약 3천5백만여 명으로 독일 총 노동자의 70%, 총 버는 급여의 80%가 이들에게서 나와서 독일 사회 생산력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들 중 41%가 독일 경제를 암울하게 보고 있으며, 44%는 곧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정작 현재 경제적 상황에 대해선 만족스럽다는 답변이 많이 나왔다. 이들 중 44%는 5년 전보다 생활 형편이 나아졌다고 답했으며, 동독인 가운데서도 46%가 형편이 나아졌다고 보았다. 그렇다면 이들은 어째서 독일 경제의 장래를 비관적으로 보는 것일까?
조사 결과 많은 이가 현재 전문 인력이 부족하고 기술 개발에 뒤처지고 있으며, 미국의 정치와 기상변화가 악영향을 줄 것으로 보았다. 또한 사회적 발달도 부정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여긴 경우가 반절에 달했는데, 특히 교통 시설에서나 공공장소, 인터넷에서 공격성과 이기주의가 심해지고 있다고 여기는 답변자의 비중이 각 분야에서 50%를 넘었다. 그리고 출신 성분에 의해 사회적 여건이 달라진다고 주장하는 이도 꽤 많아서, 학력이나(46%) 사유 재산(58%)을 통해 사회적인 차별이 이뤄진다고 여겼다. 동독인 가운데선 동독 출신이냐에 따라서도 차별이 생긴다고 답한 비중이 55%에 달했다.
ⓒ 구텐탁코리아(http://www.update-gutentagkorea.wpmudev.h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